아르바이트나 일을 할 때 출퇴근 시간을 알아야 급여 계산을 할 때 급여를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. 주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 꼼꼼하게 따져봐야 할 부분이기도 합니다. 만약 근태관리 업무를 하는 경우 엑셀을 이용하여 총 근무 시간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.
그래서 엑셀 시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총 근무 시간을 구하기 위해서 함수식을 입력합니다. =SUM(퇴근시간-출근시간, 퇴근시간-출근시간)입니다. 저는 근무한 날을 이틀로 잡았기 때문에 공식이 이틀 치에 대한 값입니다.
함수 식을 넣은 셀에서 오른쪽 밑에 커서를 가져다 놓고 클릭 후 아래로 드래그하면 값이 입력됩니다. 끝나는 셀 오른쪽 아래에 아이콘이 생깁니다. 클릭한 후 서식 없이 채우기를 클릭합니다.
셀 값이 소수점으로 바뀐 걸 볼 수 있습니다. 선택이 된 상태에서 맨 위 메뉴 아래에 있는 아이콘들 중 표시 형식 옆에 자그마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아니면 총 근무시간 값을 구한 셀들이 블록 잡힌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한 후 셀 서식을 클릭합니다.
표시 형식에 사용자 지정을 선택한 후 형식에 [HH]:MM을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.
그럼 총 근무시간이 구해진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셀서식에 입력한 형식은 총 근무시간의 합이 24시간을 넘어갈 경우 24:05 이런 식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.
엑셀 시간계산을 이용하여 총 근무시간을 계산해봤습니다. 엑셀을 이용하면 보다 쉽고 빠르게 업무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.
알수록 편리해지는 정보
'IT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갤럭시 안드로이드 불빛 알림 설정 방법 (0) | 2022.06.09 |
---|---|
한글 표 색 채우기 두가지 방법 (0) | 2022.06.09 |
휴대폰 분실시 위치 추적하는 법 (0) | 2022.06.09 |
엑셀 중복값 제거하는 법 (0) | 2022.06.07 |
갤럭시 엣지 패널 끄기 설정하는 법 (0) | 2022.06.07 |
댓글